분류 전체보기
-
빅뱅우주론의 보완 가설우주이야기 2023. 9. 8. 09:00
빅뱅우주론의 보완 가설 빅뱅 이론은 우주가 과거에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은 상태에서 폭발적으로 확장하기 시작한 것을 설명하는 주요 우주론입니다. 이는 코스믹 마이크로웨이브 배경복사(CMB), 우주의 대규모 구조, 그리고 원소 비율 등 여러 관측 결과와 잘 일치합니다. 그러나 빅뱅 이론만으로는 모든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왜 CMB의 온도가 하늘 전체에서 거의 일정한지(호라이즌 문제), 왜 우리가 보는 우주가 거의 평평한지(평평성 문제) 등은 기본적인 빅뱅 이론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가설 중 하나가 '인플레이션 이론'입니다. 인플레이션 이론은 빅뱅 직후에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우주가 굉장히 빠르게 팽창한 단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호..
-
우주정거장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우주이야기 2023. 9. 4. 09:00
1세대 우주정거장 우주정거장의 역사는 196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으며, 초기 우주정거장은 대부분 단일 발사로 공간에 배치된 소형 시설이었습니다. 이를 "1세대" 우주정거장이라고 부릅니다. 1. 소련의 살루트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1971년부터 1986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7개의 살루트 우주정거장이 발사되었습니다. 첫 번째 정거장인 살루트 1호는 인류가 처음으로 건설한 우주정거장으로, 여러 가지 과학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2. 미국의 스카일랩: 스카일랩은 미국 NASA가 개발하고 1973년에 발사한 최초의 미국 우주정거장입니다. 스카일랩에서는 생명과학, 천문학, 기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위와 같은 1세대 정거장들은 주로 단기간 체류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장기간 유지 관리나..
-
인공위성에 대한 이야기우주이야기 2023. 9. 3. 09:00
인공위성의 역사 인공위성의 역사는 20세기 중반에 시작되었습니다. 인공위성은 지구 주변을 돌며 다양한 과학적 연구, 기상 예보, 통신, 위치 정보 제공 등에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1. 스푸트니크 1호 (1957): 최초의 인공위성은 소련이 1957년 10월 4일에 발사한 '스푸트니크 1호'였습니다. 이 위성은 지구를 둘러싼 궤도를 돌면서 비프 신호를 방송하였고, 이는 전 세계에서 수신할 수 있었습니다. 2. 익스플로러 1호 (1958): 미국이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발사한 인공위성은 '익스플로러 1호'로, 이는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 후 몇 달 후인 1958년에 이루어졌습니다. 익스플로러 1호는 바네 앨런 벨트라고 알려진 지구 주변의 방사선 대역을 발견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3. 텔스타 (1962): 초기..
-
지구 자전에 대한 이야기우주이야기 2023. 9. 2. 09:00
지구 자전의 특징 지구의 자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는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약 24시간(정확히는 23시간 56분 4초)마다 한 바퀴 도는 회전을 합니다. 이를 '사일' 또는 '합성일'이라고 부르며, 이것이 하루의 길이를 결정합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수직에서 약 23.5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 기울기 때문에 우리는 계절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북반구에서 여름 동안, 지구의 북극은 태양 쪽으로 더 기울어져 있어 태양의 광선이 더 직각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날들이 길고 날씨가 따뜻해집니다. 지구가 자신의 축 주위로 회전하는 방향은 동쪽입니다. 이것이 왜 해가 동쪽에서 떠오르고 서쪽에서 진다는 일상적인 경험을 설명합니다. 지구의 자전 속도는 극점에 가까울수록 줄어..
-
헬리혜성에 대해서우주이야기 2023. 9. 1. 09:00
헬리혜성이란 헬리 혜성(Halley's Comet)은 가장 잘 알려진 혜성 중 하나로, 약 76년마다 지구 근처를 지나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혜성은 17세기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몬드 헬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에드몬드 헬리는 이 혜성이 과거의 관측 기록과 일치하는 주기적인 출현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입니다. 그는 이전에 기록된 여러 차례의 혜성 출현이 같은 혜성에서 비롯된 것임을 증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758년에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예측하였습니다. 헬리 자신은 그 해를 목도하기 전에 사망하였지만, 그의 예측이 맞았음이 증명되어 그를 기리며 이 혜성을 '헬리'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헬리 혜성은 매우 밝아서 맨눈으로 볼 수 있으며, 그 모습은 수 천 년 동안..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대해서우주이야기 2023. 8. 29. 09:00
주요 임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은 현재 준비 중인 NASA의 차세대 우주 망원경입니다. JWST는 허블 우주 망원경 이후에 개발된 망원경으로, 더 넓은 파장 범위와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적외선 영역에서 천체를 관측하고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JWST의 주요 임무와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 별과 은하의 형성: JWST는 초기 우주에서 별과 은하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조사합니다. 적외선 감도가 높기 때문에, 먼 곳에 있는 먼지 구름이나 가려진 영역에서 신생 별들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외계 행성 탐색: JWST는 외계 행성들을 발견하고 조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환경..
-
허블망원경에 대해서우주이야기 2023. 8. 28. 09:00
허블망원경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은 미국 우주항공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이 공동으로 개발한 대형 망원경입니다. 이 망원경은 1990년에 발사되어 지구 궤도 상에서 천문학적 관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허블 망원경은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관측 능력: 허블 망원경은 지상 기반의 망원경보다 상당히 높은 해상도와 감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대기 중의 왜곡 없이 우주까지 도달하는 장점을 갖추고 있으며, 선명하고 정확한 천체 관측 결과를 제공합니다. 2. 광학 시스템: 허블 망원경은 2.4m 크기의 주거침대와 여러 개의 고성능 광학 기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시광선부터 자외선, 적외선 영역까지 다양한 파장 범위에서 관측이 가능..
-
성운과 성단에 대한 이야기우주이야기 2023. 8. 27. 09:00
성운에 대해서 성운은 우주 공간에 퍼져 있는 거대한 가스와 먼지의 구름입니다. 이러한 가스와 먼지들은 별들의 탄생과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성운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그 형태는 성운의 위치와 성체의 유형에 의해 결정됩니다. 성운은 망원경을 통해 관찰될 때 아름다운 색상과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를테면, 발광 성운은 내부 가스가 주변의 별에서 에너지를 받아서 빛을 발하며, 그 결과 화려한 색상과 반짝임을 보입니다. 다른 성운 유형으로는 반사 성운이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주변 별들의 빛을 반사하여 보여주며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암흑 성운은 주로 거대한 분자 구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하는 별들의 새로운 탄생지입니다. 암흑 성운은 주로 어두워 보이는데, 이는 외부 별빛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