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대한 사실들우주이야기 2023. 7. 30. 09:00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성격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독설가로 유명했다고 한다. 삐뚤어진 태도로 논쟁과 언쟁을 하고 문제를 일으키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내말을 이해 못하는 무식한 것들 때문에 짜증나 죽겠다' 라는 불만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대학생 시절 강사들과 말싸움을 해 논쟁꾼이라는 별명이 있었다고 한다. 강사들을 비판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래된 생각을 고분고분 받아들인다며 학생들을 비난했다고 한다. 대학교에서 근무할 쯤엔 강한 의견과 급진적인 주장때문에 동료 교수들과도 심각한 갈등이 있었다고 한다. 선배들을 비판하고 구식이라며 비난하기도 했다. 그래서 동료 교수들은 일부러 갈릴레오의 수업에 문제를 제기하는 학생들을 심어서 갈릴레오의 수업을 힘들게 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갈릴레오는 교황청과도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업적
근대 물리학의 초석을 닦은 물리학자이고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하지만 물리학자로 갈릴레오는 보는 것은 뉴펀에 의해 고전물리학이 성립된 이후 사후적 평가이다. 당시에는 유명하고 저명한 수학자였고 직업적으로도 수학자의 커리ㅓ어를 쌓았다.
천동설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라는 저서를 통해 지동설을 주장하였다. 하나의 일화로 피사의사탑에서 낙하실험을 했다. 무거운 물체는 가벼운 물체보다 더 빨리 떨어진다는 통념을 반박하기 위해 실험을 한것으로 무게가 다른 두개의 추를 낙하시키고 두 추가 동시에 지면서 떨어지는 것으로 증명했다고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고 고도의 사고실험을 했다. 갈릴레오는 사고실험만이 아니라 실제 실험을 통해 가설을 증명하려고 했다. 긴 판자에 홈을 만들어 놋쇠의 철구를 굴려 낙하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여 실험근거를 제시했다. 하지만 시간측정을 본인의 맥박으로 했다고 하면서 결과를 내놓고 실험하였다고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가설이라는 개념이 없었던 당시의 상황과 초단위에 시계가 없었다는 점에서 그가 한 실험은 분명 과학적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훗날에 갈릴레오의 주장은 뉴턴이 증명하였고, 아폴로15호의 승무원들이 달에서 실험을 통해 입증하게 된다.
또한 스스로 망원경을 만들어 천체를 관찰하였고 목성의 위성 4개를 포함한 수많은 위성과 토성의 고리를 발견한 사람이기도 하다. 금성의 위성변화도 관측했다고 한다. 유명한 일화로는 지동설을 주장함으로써 발생한 여러 상황들 탓에 종교재판에 회부되기도 했고 어쩔 수 없이 지동설의 주장을 중단하기도 했다. 정확한 용어를 쓰진 않았지만 관성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고 추정되지만 등속직선운동이 아닌 등속원운동을 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최초의 온도계를 발명한 사람이기도 하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는 없어 유용하지는 않았다.
업적의 한계
지당시 지동설이 인정받지 못한 이유는 지구가 움직인다고 왜 사람들은 느끼지 못하는가였다. 그 질문에 정확한 대답을 할 수가 없어서 인정받지 못했다고 한다. 비슷한 일화로 지구가 움직인다면 우리가 제자리에서 점프하면 왜곡된 궤도로 움직일 것이라는 비판에 당신은 움직이는 함선에서 점프하면 다른 곳에 착지하는가라는 정도의 반박만 했을 뿐 과학적인 증명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지동설을 최초로 주장하고 과학적 실험을 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또한 갈릴레오는 밀물과 썰물이 달의 인력 때문임을 인정하지 못했고 왜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할하는 것이 합당한가라는 질문에 합리적인 설명을 하지 못했다. 당시 아리스토텔레스적 우주론을 바탕에 둔 사람들은 천체는 에테르라는 지상의 것과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했고 지상계와는 다른 논리체계를 적용해서 해석했다고 한다. 이때 갈릴레오는 망원경을 통해서 지상계의 먼 곳을 관찰해보니 실제로 일어난 사건과 흡사했다. 아마도 천상계 역시 망원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거라고 생각합니다.라고 했을 뿐 어떻게 망원경으로 관찰한 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과 흡사한지 논리적으로 입증할 수는 없었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
갈릴레오가 재판장을 나가면서 '그래도 지구는 돈다'라고 말했던 일화가 유명하다. 그러나 이 말을 정말 했다는 증거는 없다. 후대가 일부 창착하였거나 완전 창작한 것으로 보인다.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의 탄생과 구조 (0) 2023.08.01 우주정거장에 대한 이야기 (0) 2023.07.31 인류의 달탐사 계획 (0) 2023.07.29 달의 기원과 위상 (0) 2023.07.28 우리은하의 특징과 구조 (0) 2023.07.27